폐차장 근처 - 박남희 -
①이 곳에 있는 바퀴들은 이미 속도를 잃었다
나는 이곳에서 비로소 자유롭다
②나를 속박하던 이름도 광택도
이 곳에는 없다
졸리워도 눈감을 수 없었던 내 눈꺼풀
지금 내 눈꺼풀은
꿈꾸기 위해 있다
나는 비로소 지상의 화려한 불을 끄고
내 옆의 ③해바라기는
꿈같은 ④지하의 불을 길어 올린다
비로소 자유로운 내 오장육부
내 육체 위에 풀들이 자란다
내 육체가 키우는 풀들은
내가 꿈꾸는 공기의 질량만큼 무성하다
풀들은 말이 없다
말없음의 풀들 위에서
풀벌레들이 운다
풀벌레들은 울면서
내가 떠나온 도시의 소음과 무작정의 질주를
하나씩 지운다
이제 내 속의 공기는 자유롭다
그 공기 속의 내 꿈도 자유롭다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은 저 흙들처럼
⑤죽음은 결국
또 다른 삶을 기약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이곳에서 모처럼 맑은 햇살에게 인사한다
햇살은 나에게
세상의 어떤 무게도 짐 지우지 않고
바람은 내 속에
절망하지 않는 ⑥새로운 씨앗을 묻는다
<텍스트의 이해>
①자동차 바퀴 따위를 말한다.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속도를 지향하는 기계부품인 ‘바퀴’는 근대 문명을 상징한다.
②여기서 이름과 광택은 나를 속박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름이 있으되 그것은 사물의 본질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며 광택이 있으되 그것은 내면이 얼비친 것이 아니라는 발상이다. 즉 이름과 광택은 존재의 본질을 가리우는 것을 말한다.
③해바라기는 태양을 지향하는 꽃이다. 여기서 해바라기는 지하에 흐르는 물을 지상으로 끌어올리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존재이다.
④길어 올리는 것은 물이지 불일 수 없다. 해바라기라는 통로를 거치면서 물이 불로 질적인 전환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⑤죽음을 사멸이 아닌 재생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바퀴의 죽음은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재생을 기약하는 변신이 된다.
⑥‘씨앗’은 재생의 상징성을 갖는다. 식물적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
<감상>
제목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이 시에서는 폐차장 근처의 풍경을 보고 시상을 얻어서 쓴 것이다. 1-4행은 정신없이 달리던 바퀴가 속도, 이름, 광택을 잃었다는 내용이고, 5-10행은 누워 있는 바퀴가 새로운 차원의 꿈을 꾼다는 내용이다. 11-14행은 바퀴가 진정한 의미에서 자유로워졌다는 내용이고, 15-20행은 바퀴가 도로에서의 ‘소음과 질주’ 대신에 풀벌레 울음이라는 자연을 얻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21-25행은 바퀴가 폐차되는 순간에 ‘또 다른 삶을 기약한다’는 것이고, 26-30행은 바퀴가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준비를 한다는 내용이다.
진정한 자유는 욕망을 버릴 때 얻어지는 것일 듯하다. 바퀴가 질주해야 한다는 강박감에서 벗어나 폐차 즉 생의 종점에 와서야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폐차장 근처의 흙들은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듯이 보인다. 그러나 그 ‘비움’이 있기에 비로소 어떤 무게도 짐 지우지 않고 스스로를 자유롭게 하고 또 풀들과 풀벌레들에게 안온한 집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닌가? 그리하여 비로소 생의 종점인 폐차장에서 절망하지 않고 ‘새로운 씨앗’ 즉 진정한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특징 : ①상징적 소재를 통해 문명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고 있다.
②식물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현대 문명의 미래를 조망하고 있다.
주제 : 폐차장의 바퀴를 통해 본 현대 문명의 희망
'그룹명 > 문학의 향기(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른 어휘선택은 글쓰기의 기본 (0) | 2010.08.15 |
---|---|
조치원 -기형도- (0) | 2010.06.30 |
박경원의 시 (0) | 2010.06.13 |
*시적인 생각 찾기* 안도현 (0) | 2009.12.28 |
ㅇ 좋은 시를 쓰려면 (0) | 200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