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좋은 시를 쓰려면
-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서 써야 한다. - 적어진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서 문맥의 흐름을 다듬는다. - 우연한 기회에 스치는 영감을 메모해 두었다가 적당한 시어로 옷입히기를 한다. - 메모하는 습관을 가진다. - 추상과 구상을 적당하게 배분한다. - 직유보다는 은유에 치중해서 글을 쓴다. - 일상화된 언어보다는 자기만의 독특한 언어를 만든다. - 독자의 몫을 배려한다. - 이미지 중복을 피한다. - 즉흥적으로 시 쓰기 연습을 한다.
ㅇ 수식어는 극약이다. 수식어를 비유법으로 정리함이 절대 필요하다.
ㅇ 감춤과 드러냄이 절묘하게 짜여져야 글이 산다. 사랑이라면 사랑의 내용은 드러내 적지만 사랑이란 말은 감추어야 한다.
ㅇ 글의 말미는 명사형이나 종결의미로 끝내라. 단정적, 확정적으로 끝내지 말라. 차라리 의문으로 끝내는 것이 더 효과를 가져온다.
ㅇ 호흡을 너무 길게 잡지 않도록 소리내어 읽어보고, 단락이 너무 길어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를 때에는 2-3행 어딘가서 끊어 줘야한다. 가능하면 3행 정도에서 단락을 짓는 것이 호흡에 적당하다.
ㅇ 좋은 시행은 적시 적소에 종결의미와 명사형으로 막아줘야 한다.
ㅇ ㅂ으로 종결지으면 답답하고 ㄴ 으로 끝나면 차단하는 의미를 ㄹ 로 마무리되면 벗어나는 이미지를 준다. ㅍ 으로 결론 나면 답답함이 앞선다.
※ 참고로 이름은 차단없이 터져 나가도록 지어야 한다.
ㅇ 하늘 안의 붉은 얼굴 : 안의 ㄴ과 붉은의 ㄹㄱ에는 받침이 들어가 있어 읽기도 힘들고 리듬도 깨어진다.
ㅇ 글을 적을 때 비유를 앞세우지 말라. 글에서는 1차적 의미가 더 중요하다. 1차적으로 현실을 묘사하고 2차적으로 비유법을 사용해 부연해야한다. 비유법이 첫머리에 나오면 재미가 없다. 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
ㅇ 주격 ...은 : 따로따로 느낌 ...이 : 곁에서 함께 하는, 연관성 있는 표현 !?,. : 표현에 해당 ※ 말은 아끼되 조사 사용은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
ㅇ 시작, 전환, 상승, 결구로 시를 전개해 나간다.
ㅇ 단락의 종결의미를 모두 명사형으로 나열하면 변화의 맛이 없다.
ㅇ 글을 적을 때 사실묘사에 의존할 경우 혼자만의 감동, 작가만이 감동하는 글이 되므로 다른 사람들이 동의하지 않는다. 즉 시적화자의 메시지가 없다.
ㅇ 한 단락 내에서 나열로 적어 나갈 때는 두 행이 이질적인 이미지를 주도록 적어나가야 이미지가 산다.
시쓰기 참고사항(2)
ㅇ 시 쓰기에서 정형에 너무 지우치면 깊이가 없고, 변화가 없어 단조로움을 준다.
ㅇ 어머니는 내용물을 토한 헝겊자루처럼 무너졌다 : 무너지는 의미로 적어야 하는데 너무 설명적이다. 가급적 처럼이라는 비유는 아껴야 한다.
ㅇ 벽이란 절망의 의미를 주기 때문에 제목으로서는 낱말사용이 합당하지 않다
ㅇ 시를 적을 때는 대상을 이미지로 감추었다 풀어주고 감추었다 풀어주고 그러면서 감추어 진 것을 다른 이미지로 나타내면 극적 이미지 효과를 줄수 있다. 이미지 개발, 동원이 약하면 좋은 시가 되지 못한다.
ㅇ 한자는 가급적 사용하지 마라, 막히는 듯한 의미로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다. 시의 전개는 막힘이 없이 진행으로 풀어 나가야 한다.
ㅇ 구체적 시어가 많이 동원되면 단어의 맛이 어설퍼진다.
ㅇ 회색이란 단어는 가급적 시에서 피해야 한다. 의미만으로 볼 때도 이것도 저것도 아닌 것을 회색이라 한다.
ㅇ 시행, 호흡조절이 완벽할 때는 산문시로 자신 있게 적을 수 있다. 이미지와 이미지가 긴장감을 주어야 한다. 먼저 행 같이, 시를 적어 두고 산문시로 적어야 한다.
ㅇ 사물을 묘사할 때 너무 사실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내 주면 독자에 대한 배려 결여로 글 맛이 없고 긴장감이 떨어진다.
ㅇ 가급적 작가자신, 즉 '나'는 글에서 감추어야 한다.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도 작가가 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야 한다.
ㅇ 낙엽과 사라지는 초라한 모습 : 낙엽은 마지막, 쓸쓸하고 초라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너무 당연한 표현이다. 감추기를 해야한다. 낙엽의 이미지 묘사로 쓸쓸함을 느끼게 해야 한다.
ㅇ 시인은 정신병적인 아픔이 있어야 아픈 만큼 깊이 있는 글을 적을 수 있다.
ㅇ 글 적기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독자를 의식하지 않고 글을 적게 된다. 이는 자기 독백에 불과하다. 자기속에 흩어져 있는 거품, 안개, 잡생각, 즉 쉽게 표현하면 경험, 추억 등을 쏟아내 멀리 버리고 참된 고민, 엉뚱한 상상, 낯선 사고를 글로 적을 때 진정한 글적기 시작이 될 수 있다. 내가 낯설면 독자도 낯설게 생각하고 호기심을 갖는다.
ㅇ 시에 있어서는 주석도 시(詩)다. 각주는 본문에 얘기되고 있는 것에 대한 근거 밝히기로, 지방에 나오는 지명 등은 각주를 달 수 있다.
ㅇ 습작초기 : 모든 것을 나 중심으로 적는다. 쓰는 순간에 나는 없고 그 상황에 맞게 충실히 적는다. 나라는 생각을 버려야 시간 산다.(김소월)
ㅇ 멀리보는 만큼이나 내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노력도 시 쓰기에 서는 필요하다. 즉 내면에서 흘러나오는 불안의 목소리도 글로 표현해 내야 한다.
ㅇ 시와 언어에 있어 - 언어에 경제성을 최대한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언어의 질감이 생기면 중복을 이용해도 된다. 즉 나에게 어울리는 언어의 질감을 찾아야 한다.
- 꼭 수식어를 사용해야 좋은 글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구상만으로도 리듬을 타면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ㅇ 리듬 - 리듬은 반복이다. - 시는 만들어지는 순간 죽는 것이다. - 시는 뭉쳐졌다 사라진다. - 시는 뼈가 없으면 무너지고 리듬이 없으면 맛이 없다.
ㅇ 모든 배설은 아래로 해야 자연스러운데 구토를 한다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무엇인가 낯설기 때문에 구토가 난다.(이승훈 교수) - 반드시 건전한 사고가 시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비합리적이면서도 합리성을 가질 때 시가 적혀진다.
ㅇ 시는 순수해야 한다는 관념을 버려야 발전할 수 있다. 자기 내면의 결벽증을 깨뜨릴 필요가 있다.
ㅇ 읽기는 쓰기다. 좋은 글은 읽다 보면 멈춤이 생긴다.
ㅇ 시 쓰기는 부분을 회생시켜 전체를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 시점이 중요하다.
ㅇ 시는 상승시키고 독자들을 정신 없이 몰아 부쳐야 산다. 숨쉴 틈도 없이 긴장감을 주면서....
시쓰기 참고사항(3)
ㅇ 익히 알고있는 사실, 진실 등 관념의 표현은 절대 금물, 다만 극적반전을 가할 때는 예외도 있다.
ㅇ 한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리듬을 깨게 하고 상상의 폭을 좁게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작가 50%, 독자 50%의 상상력이 합해 진정한 작품의 자리 메김을 할 수 있다.
ㅇ 시는 추상으로 적지말고 구체적으로 이미지화 해서 적어나가야 한다.
ㅇ 고향을 어머니로 표현하는 것은 죽은 의미이다. 시로서 설명하지 말고 표현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ㅇ 시를 시(詩)처럼 적으면 시가 되지 않는다. 그 상황 그대로를 표현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머니를 만나면 만남 그 상황을 묘사해야지 어머니, 모든 사람의 어머니를 추상적으로 나타내면 글이 살지 않는다 즉 어머니 전체를 보지말고 어느 한 부분만 나타내라.
ㅇ 닮게 표현하면 죽은 비유라 할 수 있다(이근배시인). 최근에는 다르게 나타내는 비유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꽃처럼 아름다운> 에서 처럼으로 묘사하지 말고 아름다움 자체를 비유로 나타내야 한다.
ㅇ 시 쓰기에 있어 상식을 뛰어넘는 시를 쉽게 쓰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사항을 더듬어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 풀어놓은 언어들이 조화되지 못하고 모래알처럼 흩어져 통일성을 갖지 못하는 아쉬움을 낳을 우려가 있다.
ㅇ 문학(文學)이란 사고(思考)의 천착(穿鑿)이다. 천착이란 구멍을 뚫는 다는 의미로 생각을 뚫어야 함을 의미한다.
ㅇ 무릇 모름지기 시인이란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말로 글을 적어서는 되지 않는다. 낯설게, 전혀 엉뚱하게,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글을 지어야 한다.
ㅇ 처음 시 쓰기를 시작하면 대부분 설명적 나열을 많이 사용하는데 시는 과정이 아니고 순간의 느낌을 포착해서 새로운 시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ㅇ 제목에서 너무 분명한 얘기를 해 주면 본문 내용이 재미가 없어진다. 내용을 읽고 입맛을 다시며 제목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시쓰기 참고사항(4)
ㅇ 짧은 글일수록 절정이 커야한다. 즉 선명한 인상을 줄 수 있도록 묘사해서 강한 인상을 주도록 해야 한다.
ㅇ 화자의 생각에 독자들이 동감하고 따라 올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만세소리를 표현할 때는 독자가 만세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비유해서 나타내야 한다.
ㅇ 공인 즉 세상이 다 아는 사람에 대해서는 존칭을 생략하고 이름만 적는 것이 통례이다. 즉 선생이라 쓰지 않아도 결례가 되지 않으며 존칭을 사용하면 깔끔치 못한 인상을 준다.
ㅇ 친숙해 보이던 것이 낯설게 보일 때 시가 된다.(이승훈 교수)
ㅇ 창조에서는 광기가 사라지면 안된다. 광기 때문에 시는 쓰지만 지배당해서는 안된다.
ㅇ 시는 영혼, 정신을 노래해야 하는데 최근 한국에서는 몸에 대한 시를 많이 쓴다.
ㅇ 시는 아름답게 쓰려 하지 말라.(이승훈 교수)
ㅇ 문학은 병들고 가난하고 외로운 사람이 한다. 과정을 직접 체험하지 않으면 내면의 깊이 있는 바탕글을 찾아내기 어렵다.
ㅇ 시란 문법속에 내가 들어가는 것이다.
ㅇ 웃을 수 있는 사람에게 더 큰 슬픔이 있을 수 있다.
ㅇ 촉각에서 후각으로 오려면 뭔가 깔아주는 것이 있어야 한다.
ㅇ 추상은 가능한 구상, 구체화해서 이미지화 해야 한다.
시쓰기 참고사항(5)
ㅇ 상상의 폭은 가감하게 치고 나가야 한다.
ㅇ 시를 쓸 때 의미를 찾지 말라. 시란 존재하는 것이다.
ㅇ 시는 사물과 말걸기에서 시작된다. 그러다 사물과 몸 바꾸기가 된다. 알고 싶은 사항이 있으면 스스로에게 물어서 깨달아라.
ㅇ 선사는 깨우치면 그만이지만 시인은 깨우침을 언어로 나타내야 한다.
ㅇ 달은 여성, 잉태를 해는 남성을 바다는 여성, 모성적 이미지를 나타낸다. 관념화 된 기존 이미지를 타파, 뒤집는 것이 시 쓰기다. 예를 들면 "파도의 사내"
ㅇ 은유가 너무 많으면 어렵다. 은유대신 의인법, 직유로 풀어주고 정서, 느낌으로 올 수 있게 조여주고....
ㅇ 하늘과 강은 푸르다는 유사어로 해석된다.
ㅇ 제목을 정할 때는 가능하면 엉뚱하게 선택해 보자.
ㅇ 막연한 단어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즉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 예를 들면 표정이라 적기보다는 얼굴, 눈빛 등으로 구체화 시켜야 내용의 의미전달이 확실해 진다. 또한 생이나 삶 같은 단어 역시 구체적으로 적어야 한다. 어떤 삶 어떤 생인지.
ㅇ 시창작의 지름길은 따로 없다. 많이 적고 많이 읽고 많이 수정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중견작가 신동엽 시인에게 한 고등학생이 어떻게 하면 시를 잘 지을 수 있냐고 물었을 때 "열심히 읽고, 써보는 수밖에 없지"라고 말하시면서 "그 방법을 알게 되거던 내게도 가르쳐 다오"라는 말을 덧붙였다고 하는 얘기가 있다.(임영조교수)
ㅇ 시는 감정으로 쓰지 말고 이성으로 써야 한다.
ㅇ 주석은 가능하면 간단하게 달아야 한다.
ㅇ 시를 적을 때는 일상적인 진술식 나열이 아닌 시어를 사용해서 긴장감을 주도록 전개시켜 나가야 한다.
ㅇ 당당하게 나와 비교해서 나타내고 사실대로 느낌을 표현하고 상징으로 바꾸어서 써야 한다.
ㅇ 한자로 적어서 그 뜻을 보충 생각해야 하는 것은 가급적 한자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생"은 생활, 탄생, 생명 등으로 다시 유추해서 생각해야 한다.
ㅇ 시는 갈길이 바쁘다. 그러므로 가급적 간단하게 축약해서 나타내야 하고 이미지를 사용 압축해서 표현해야 한다. 예를 들면 코끼리를 냉장고에 집어넣으려면 전체를 넣을 수는 없지 않은가? 코끼리 코만 잘 묘사해도 냉장고 속 코끼리를 나타낼 수 있다.
ㅇ 대화를 인용할 때는 누구와 누구의 대화인지 알 수 있게 표현해야 한다.
ㅇ 시는 모두 창조물이어야 한다. 관념화된 비유는 죽은 비유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