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문학의 향기(공부방)

[스크랩] 起 ㅡ 承 ㅡ轉 ㅡ 結 원칙

언어의 조각사 2013. 1. 25. 12:56

 기승전결이란 시를 쓰는 순서를 말하는 것이므로 즉 시의 구조를 사람으로 생각했을 때 팔등신 (八等身) 의 사람이 신체의 균형이 잘 잡힌 미인의 기본 체격으로 보여지는 것처럼  시(詩)에도

머리부분과 몸통부분과 다리부분이 잘 어우러진 모습일 때 좋은 시로 보여지는 시의 균형의 원칙이 기승전결이다.

  기존의 시 이론에서 시 쓰기의 기본으로 통용되는 기승전결의 이론을 되짚어 보기로 한다.

 

               기(起) ㅡ 첫 머리

               승(承) ㅡ 그 뜻을 이어 받음

               전(轉) ㅡ 그 뜻을 회도리 침

               결(結) ㅡ 전체를 거두어 맻는 말

 

 여기에서 얼른보면 起.承.結.만 있으면 시가 될 것 같아 보인다.

즉 1(起)첫머리 시작→2(承) 그 뜻을 이어받음 →3(結) 전체를 거두어 맺음

이런 수순만 밟으면 한편의 시가 탄생하지 않을까? 그러나 가만 보면

1(起)는 첫머리 자료 재공 역활이니까 이어 어떤 대상이 암시되어 있는 상태이고

2(承) 역시 그 뜻을 따를는 역활이니까 起의 반사 수준에 머물면 되므로 예측되는

부분이고

 3(結) 은 위의 기와 승의 활동을 정리하는 역활이니까 이것이면 한편의 시가 되는것

아니냐고 할 때 부정할수 없는 말이기도 한다.

  그런데 지극히 편안한 범위 안에서의 작품이 되므로 비슷 비슷해 보이거나 고만고만한

이미지의 굴레 안에서 갇혀있게 되어 신선한 참맛을 못 느끼게 된다.

    왜 그럴까?

기승결 ㅡ 의 활동 범위는 이미 자료 제공(제목)의 대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영토이므로

자연히 범위가 제한된 이미지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轉 ㅡ 의 역활은  기와 승의 뜻을 뭉쳐서 자신의 마음대로 회도리 치는것(이부분이 

중요 하며 이부분이 없을때는 시가 아닌 사진사이고 이부분이 있을땐 자신의 세계를 건설

했으므로 곧 작가(作家)이면서 시인이 된다) 즉 자신의 묘기를 보여주는 무대이기에 절대적으로 타인과 비슷비슷해 보이거나 고만고만한 작품이 나올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어떤재주로 어떤 요술을 보여 주는가에 따라 작품의 가치가 매겨지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轉 이 된다.

 

    설명은 이정도로 하고 예문으로 확인 연습을 해 보자.

우선 ㅡ 기승결 ㅡ로만 시를 써 보기로 하면

 

예문 1.  제목 : 구름

             

                기 ㅡ 구름은

                승 ㅡ 산너머로

                전 ㅡ x

                결 ㅡ 가고 있다

여기에서  전 의 역활을 추가해 보면 어떤 시가 될까?

                기 ㅡ 구름은          1.엄마 찾아

                승 ㅡ 산너머로       2.병원엘

                전 ㅡㅡㅡㅡㅡㅡ→  3.친구 찾아

                결 ㅡ가고 있다       4.학교를

                                             5.일하러 

 

  위와 같이 轉 에 와서는 회도리 치는 감성이 서로 다르게 묘사 되므로  절대적으로

서로 틀리게 되는데 그것은 지식이 다르고 잠재의식이 다르고 감정이 다르고 인생관이

다르고 연령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문 2. 제목 : 아기

 

                     기 ㅡ아기는             1.이렇게 날아 봐 하며

                     승 ㅡ 엄마보고         2.저 별도 유치원 가네 라며

                     전 ㅡㅡㅡㅡㅡㅡㅡ→3. 입을 뾰족히 내밀며   

                     결 ㅡ웃는다             4.젖을 깨물며

                                                   5.노래를 불러봐 하고

 

예문 3 . 제목 : 봄비

 

                      기 ㅡ 봄비가            1.콧노래를 부르며

                      승 ㅡ 가만가만         2.춤을 추며

                      전 ㅡㅡㅡㅡㅡㅡㅡ→3.대지를 적시며

                      결 내린다                4.하늘 편지를 품고

                                                    5.겨울을 쫓아내며

 

예문 4 . 제목 채송화

 

                      기 ㅡ 채송화가         1.햇빛을 찍어 바르며

                      승 ㅡ 담 밑에서        2구름을 부르며 

                      전 ㅡㅡㅡㅡㅡㅡㅡ→3.풍경 소리를 들으며   

                      결 ㅡ 피어있다         4.연애편지를 안고 

                                                     5.낮 꿈을 꾸며

 

 예문 5 . 제목 : 여인

 

                     기 ㅡ 여인은            1.편지를 보며

                     승 ㅡ 강가에서         2.손가락을 깨물며

                     전 ㅡㅡㅡㅡㅡㅡㅡ→3.물수제비를 띄우며  

                     결 ㅡ 울고 있다        4조약돌을 던지며

                                                   5.노래를 부르며

 

 이상의 예문으로는 온통 ~전~에만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보이는데 사실은 다

중요하지만 특히 ~전~에 대한 역활은 이런 것이라고 강조하다 보니 무게가 더

실렸으며 이젠  기승전결 각자의 역활을 아셨으리라 생각하며 마무리한다. 

출처 : 광주문학
글쓴이 : 산골풍경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