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76

우리말 유래(由來)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由來) 10가지❤️ ​ ​   1. 어처구니 ​첫째: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와지붕 위에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인형)들이 있는데 이를 "어처구니"라고 한다.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의 유래는 궁궐,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瓦匠)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경우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을 사용했다. ​ 둘째: 어처구니는 맷돌의 손잡이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이다.  ​그 무거운 돌 두 짝을 포개어 놓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데,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겠네요. ​ 2. 시치미 ​전혀 모르는 일인 양 딴 청을 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시치미는 사냥에 쓰려고 길들..

김영미의 [참 시詩 방앗간 13회] 연둣빛 외출

- 견딜 수 있기에 시련의 봄은 환합니다 새순 돋우며 꽃망울을 부풀리는 계절 봄에는 지상의 초목과 하늘을 보며 우주의 아이가 되곤 합니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이 왔지만, 그 틈바구니로 슬몃슬몃 황사가 헤살을 부리는 날이면, 바람이 불청객인 황사를 몰고 오듯, 살다 보면 예기치 않은 시련이 생기기도 합니다.그러나 그 시련을 극복하고 나면 삶은 한층 더 성장하고 단단해지기에 참고 견디는 것일 겁니다.살다보면 여러 가지 난제와 불황으로 삶이 버겁고 힘들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신은 인간에게 시련뿐만 아니라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와 능력도 함께 주었습니다.여린 움을 틔우던 나무가 거목이 되고 숲을 이루듯, 우리의 내일은 봄처럼 환하고 밝아지길 바래봅니다. 세상의 주인공은 바로 당신이고 나이기 때문입니..

김영미의 [참 시詩 방앗간 12회] 겨울 비

어머니가 없는 그리움의 영토에 겨울비 내리던 날 ▲ (삽화=박소향) 겨울 비/ 김영미 봄빛을 풀무질하던 겨울나무는 허공에 걸린 가지를 합장하고 레퀴엠을 연주합니다 머리를 풀고 흐느끼던 숲이 별을 지나쳐 달의 우물을 건드린 걸까 닳은 뼈마디를 숨기느라 잇새로 삼키던 어머니 한숨들이 내려옵니다 맞잡은 손 차마 떨칠 수 없던 그 날처럼 비는 그렇게 하염없이 흐릅니다 백 년의 고독을 안고서 당신도 모르는 길을 가던 숲에서 새의 울음으로 서 있는 건 아니신지요 당신이 떠나던 날 따듯한 추억의 고향도 따라갔습니다 수천 번의 바람으로 당신을 부르면 꿈속에서라도 오시렵니까 나무는 연둣빛을 더하며 내일로 향하는데 슬픔의 영토를 헤아리던 그리움 관성 밖으로 부메랑은 격률의 이별 방식만 돌려보냅니다 [메모] 어머니는 신장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