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리에서/ 강 민
"이놈의 전쟁 언제나 끝나지. 빨리 끝나야 고향엘 갈 텐데."
때와 땀에 절어 새까만 감발을 풀며 그는 말했다
부풀어 터진 그의 발바닥이 찢어진 이 강산의 슬픔을...
말해 주고 있었다
지치고 더럽게 얼룩진 그의 몸에선
어쩌면 그의 두고 온 고향 같은 냄새가 났다
1950년 8월의 경안리 주막
희미한 등잔불 밑에서 우리는 같은 또래끼리의
하염없는 얘기를 나누었다
적의(敵意)는 없었다
같은 말을 쓸 수 있다는 행복감마저 있었다
고급중학교에 다니다 강제로 끌려나와 여기까지
왔다는 그
그에게 나는 또 철없이 말했었다
"북이 쳐내려오니 남으로 달아나는 길" 이라고
적의는 없었다
우리는 서로 쳐다보며 피식 웃었다
굶주리고 지친 사람들은 모두 잠이 들고, 우리만
하염없는 얘기로 밤을 밝혔다
그리고 새벽에 그는 떠났다
"우리 죽지 말자"며 내밀던 그의 손
온기는 내 손아귀에 남아 있는데
그는 가고 없었다
냄새나고 지치고 더럽던 그의 몸과는 달리
새벽별처럼 총총하던 그의 눈길
1950년 8월 경안리
새벽의 주막 사립문가에서 나는 외로웠다
- 시집 『외포리의 갈매기』 (푸른사상, 2014)
.........................................................
경안리는 경기도 광주를 끼고 흐르는 경안천 주변의 동리 이름이다. 1933년 서울태생인 강민 시인은 18세에 한국전쟁을 겪었다. 1950년 8월이면 경기도는 물론 대구 부산을 제외한 남한 전역이 인민군에 의해 점령당한 상황이다. 유엔군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전력의 열세로 북한군의 남진을 저지하지 못해 8월 1일에는 낙동강전선까지 후퇴한다. 8월 내내 낙동강 방어전투가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8월 18일엔 부산으로 임시수도를 옮겼다.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시인은 경안리 한 주막에서 우연하게 또래의 북한군 병사를 만난다.
시인은 지친 북한군 병사와 주막의 '희미한 등잔불 밑에서' 밤을 밝히며 '하염없는 얘기를 나누었다'. 서로 적의는 없었다. 북에서 고급 중학교에 다니다 강제로 끌려나왔다는 그에게 “북이 쳐 내려오니 남으로 달아나는 길”이라고 속엣 이야기를 털어놓을 정도로 서로 경계 없이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갔다. 서로 쳐다보며 피식 웃었을 뿐이었고, 그도 "이놈의 전쟁 언제나 끝나지. 빨리 끝나야 고향엘 갈 텐데."라며 전쟁의 향방은 아랑곳없이 오로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만 가득했다. 도무지 이념이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
서로 연민하는 가운데 전장에서 꽃피운 순수한 우정이었다. '그리고 새벽에 그는 떠났다' 강민 시인은 그 하룻밤의 기억을 평생토록 생생히 간직하고 계셨다. ‘우리 죽지 말자’며 내밀던 ‘그의 손’의 온기가 오래도록 손아귀에 남아있었던 것이다. '냄새나고 지치고 더럽던 그의 몸과는 달리 새벽별처럼 총총하던 그의 눈길'도 또렷하다. 살아있으면 다시 만나겠지 기약은 없었지만 '우리 죽지 말자'는 다짐이 내내 귓전을 맴돌았다. 전쟁 통에 사람 하나 죽는 거야 대수로울 것도 없지만 시인은 새벽의 주막 사립문가에서 울컥 서럽고 외로웠다.
처음부터 경계와 적의 없이 두 사람은 인간적으로 마음을 열어갔다. 문단에서 '마지막 휴머니스트'로 불렸던 강민 시인은 작고하기 직전까지도 그때 일을 오롯이 떠올리며 그 북한군 병사를 궁금해 했다. 그도 나처럼 그날 밤을 기억하고 떠올릴 때도 있을까 내내 궁금했던 것이다. 어쩌면 인생의 꽃도 피우기 전에 전장에서 뼈를 묻었을지도 모른다. ‘우리 소망은 어디서 날고 있나’ 통일의 꿈은 끝내 이뤄지지 못했으나, 이제 저 하늘에서 ‘경안리’ 친구와도 재회하고 먼저 가신 부인과 그리운 친구들과도 다시 만나 긴긴 회포를 풀 것이다.
사람의 감정은 누군가를 만날 때와 헤어질 때 가장 순수해지는 법이다. 헤어졌던 사람과의 재회는 더욱 그렇다. 문득 선우휘의 소설 <단독강화>가 떠오른다. 낙오하여 우연히 조우한 남북한 병사가 함께 동굴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하고 서로 공격하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 처음에는 티격태격했지만, 둘은 점차 서로에게 인간적인 정을 느끼게 된다. 다음 날 아침 인민군이 먼저 북쪽으로 떠난 직후 국군은 중공군을 만나게 되는데, 인민군은 가던 길을 다시 돌아와 동굴에 있는 그를 돕는다는 내용이다. 결정적 순간 형제애가 발휘된 것이다.
이 소설은 영화 <강철비>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여기서 정우성이 북한군 병사 역으로 나온다. 어쩌면 강민 시인이 '경안리에서' 만난 북한병사도 씻겨놓으면 정해인 처럼 귀여운 꽃미남일지도 모른다. 강민 시인처럼 맑은 모습의 로맨티스트로 살다가 비슷한 시기에 세상을 떠났을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오랜 외로움의 해원이 이제야 풀려 ‘새벽별처럼 총총하던 그의 눈길’과 조우하게 된 것이다. 못 다한 우정을 나누고 남과 북의 동질성도 비로소 회복되었으리라. 강민 시인의 생전 그 염원이 이 지상에서도 이뤄지길 간절히 바란다.
권순진
'그룹명 > 좋은 글 훔쳐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놓았거나 놓쳤거나 / 천양희 (0) | 2019.12.09 |
---|---|
아름다운 기억의 서랍 /임철우 (0) | 2019.11.11 |
[스크랩] 현대 시 100선 (0) | 2018.11.08 |
몰입의 기술/칙센트미하이 (0) | 2018.08.02 |
[스크랩] 중년의 위기 (0) | 2018.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