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해석으로 유명한 정신분석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는 여성을 ‘남성의 어렴풋한 그림자’로
묘사했다. 독일 관념론 철학을 완성시킨 형이상학자 헤겔(1770~1831)도 ‘공동체의 영원한 아이러니’가 여성을
보는 눈높이였다. 염세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1788~1860)의 여성 혐오증은 정도를 넘는다. 그에게 여자는 종족
보존의 도구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철학의 시조격인 아리스토텔레스(BC 384~BC 322) 역시 여자들
에게는 스스로가 강조한 용기, 정의, 절제 등의 덕목 부여를 꺼려했다. ‘지혜를 사랑한다’는 당대의 내노라하는
철학자들의 여성관이야말로 아이러니다.
"21세기는 여성의 세기”...적중해 가는 예언
‘유리천장’(Glass Ceiling)은 여성들의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회사나 공무원 조직 내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미국의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이 1970년에 만들어낸 신조어로, 남녀차별을 언급할 때 자주 쓰는 용어다. 미국 정부는 이 말이 유행처럼 나돌 즈음 ‘유리천장위원회’를 만들어 여성차별 해소를 독려했으니 유리천장이 남녀평등 인식을 새롭게 일깨운 셈이다. 높은 실업률, 치솟는 물가, 만성파업 등 심각한 ‘영국병’을 치유한 마거릿 대처 전 총리(총리 재임 1979~1990)는 여성 리더를 보는 왜곡된 선입견에 경종을 울렸다. ‘철의 여인’이란 닉네임에선 남성을 압도하는 카리스마가 느껴진다. 하지만 20세기만 해도 유리천장은 몇 차례 충격은 받았지만 여전히 견고했다. 그토록 견고함을 자랑하던 유리천장은 21세기 들어 여기저기 금이 가고 있다. 금이 간 정도가 아니라 깨진 유리천장도 수두룩하다. 재정위기에 내몰린 유럽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글로벌 금융시장을 좌지우지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2008년 오마바와의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지고도 “높고 단단한 유리천장을 깨지는 못했지만 1800만개(득표수)의 금을 가게 만들었다”고 당당히 외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유리천장을 깬 대표적 여성이다. 유리천장이 깨져가는 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주요 공무원 시험에서 여성들이 수석을 독차지하다시피 한 것은 오래전 얘기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 처음으로 여성 대통령도 탄생했다. 기업에서도 여성들의 역할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1세기는 여성의 세기’라고 못박은 경영학자 피커 드러커의 예언이 적중하고 있는 셈이다.
재조명되는 여성 리더십
드러커는 21세기를 ‘여성의 세기’로 단정했다. 그는 2005년 100세 가까운 나이로 세상을 마감하면서 자신의 예언이 적중했다고 흐뭇해 했을지도 모른다. 여성 리더십은 더이상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조류다. 정치·경제·문화·스포츠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활약은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다. 여성 리더십의 키워드는 공감과 부드러움, 섬세함이다. 배려, 포용, 감성도 여성이 남성보다 한수 위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여성 리더들의 부상은 사회·경제적 시대 흐름과 무관치 않다. 사회적으론 소통이 화두가 되면서 감성이 풍부한 여성 리더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산업구조의 변화도 여성들이 주목을 받는 이유다. 산업혁명이후 대량생산으로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른바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한 전통산업에선 통제·카리스마적 리더십이 요구됐지만 창의적이고 협업을 중시하는 정보기술(IT)시대에는 여성 특유의 섬세함과 소통 능력이 큰 장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류학자 헬렌 피셔는 “미래 산업구조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대방 마음을 읽는 능력, 사회정의에 대한 순수성이 상대적으로 장점인 여성이 수평적 네크워크가 특징인 21세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공감력 커진 '베타 리더십' |
‘최고의 여성에게서 배워라’의 저자 로이스 프란켈은 “여자에게는 끼와 본능이 있다”고 말한다. 그는 마거릿 대처, 힐러리 클린턴, 오프라 윈프리, 마더 테레사 등을 예로 들면서 이들의 공통점으로 명확한 비전, 뛰어난 전략과 전술,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의지, 감동을 주는 화법, 동기를 부여하는 전술과 전략, 높은 호감지수와 감성지수 등을 꼽았다. ‘크게 생각할수록 크게 이룬다’의 저자 데이비드 슈워츠는 남성 중심적인 전통적 리더십을 ‘알파 리더십’으로 칭하고, 이에 대비되는 새로운 리더십을 ‘베타 리더십’이라고 이름붙였다. 그에 따르면 알파 리더십은 합리적이고 분석적이며 양적인 사고에 기초하는 위계적 권력관계에 의존하지만 베타 리더십은 통합과 직관적이며 질적 사고를 중시한다.
그렇다고 베타 리더십이 알파 리더십보다 우월하다고 단정짓는 건 무리다. 사회적 구조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필요한 리더십은 달라진다. 최초의 여성 총리로 고질적인 ‘영국병’을 치유한 대처가 ‘베타 리더십’만을 고수했다면 영국은 더 위기에 몰렸을지도 모른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1960, 70년대의 리더십을 오늘날 리더십과 단순 비교하는 역시 시대의 흐름을 잘못 읽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여성 비하적인 생각이 강했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이트, 헤겔, 쇼펜하워를 오늘날의 시각으로 맹비난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남성적 리더십으로 역사를 바꾸고, 경제를 회복시킨 사례도 무수히 많다.
'위미노믹스 시대‘...여성을 깨워라 |
사상 처음으로 여성 대통령이 탄생했지만 한국사회의 유리천장은 상대적으로 여전히 견고한 편이다. 고위직 여성비율이 아시아에서 ‘꼴찌’인 것은 이를 잘 말해준다. 멕킨지 분석 자료에 따르면 기업 이사회 내 여성 비율은 유럽 17%, 미국 15%, 중국이 8%인 반면 우리나라는 1%에 불과하다. 최고경영진 내 여성 비율도 우리나라는 2%에 그쳐 유럽(10%), 미국(14%)에 크게 뒤졌다. 여성 대통령을 탄생시킨 나라치고는 기업내 고위직 여성의 위상은 너무 초라한 셈이다.
여성은 인류가 개발할 수 있는 마지막 자원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잠재력이 큰 여성 인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국가·기업의 운명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시대가 바뀌면서 남성보다 탁월한 성과를 내는 여성 국가지도자나 기업경영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성 리더십에 대한 불편한 시각이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감성 리더십을 통해 여성이 경제·산업계에서 강력한 파워를 갖는 이른바 ‘위미노믹스(womenomics)’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갈 길은 아직도 좀 멀어보인다.
글 /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그룹명 >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드라마다 (0) | 2013.02.19 |
---|---|
한국문인협회 인증서 (0) | 2013.02.02 |
“고구려 성까지 만리장성으로 덮어씌워서야…” (0) | 2012.06.23 |
창작지원금에 관한 넋두리 (0) | 2012.01.03 |
2011년 광주시 예술인의 밤... (0) | 2011.12.06 |